반응형
회전근개 파열 수술 후 회복 기간 및 재활 방법 완전 가이드
회전근개 파열이란?
어깨를 감싸는 4개의 근육·건(건을 통칭해 ‘회전근개’라 부릅니다) 중 한 곳 이상이 찢어지거나 완전히 파열된 상태를 말합니다. 야간통, 팔을 들어 올릴 때의 극심한 통증, 힘 빠짐이 대표 증상입니다. 방치하면 파열 범위가 커져 봉합조차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조기에 진단과 치료가 필수입니다.
회전근개 파열 수술 방식별 특징
- 관절경 봉합술
- 작은 구멍을 여러 개 내어 카메라와 특수 기구로 봉합
- 피부 절개가 최소화되어 통증·흉터·감염 위험이 낮음
- 재활 프로토콜이 비교적 빠르게 진행되는 편
- 미니 오픈 수술
- 부분 관절경 후 3-5㎝ 절개로 봉합 부위를 직접 확인하며 수술
- 대파열에서 견고한 봉합이 가능
- 초기 통증과 흉터가 관절경보다 다소 큼
- 완전 개방 수술
- 6㎝ 이상 절개로 파열부와 주변 구조를 충분히 노출
- 광범위 파열·근육 위축 시 활용
- 입원 기간·회복 기간이 가장 길고 통증도 상대적으로 큼
회전근개 파열 수술 후 회복 기간 - 단계별 리허빌리테이션 로드맵
수술 테크닉, 파열 크기, 환자 연령·체력, 동반 질환에 따라 세부 일정이 다를 수 있습니다. 주치의·물리치료사와 반드시 상의하세요.
1단계: 조직 치유 및 통증·염증 관리 (0-6주)
회전근개 파열 수술 후 회복 기간 1단계는 조직 치유 및 통증, 염증 관리에 집중합니다. 기간은 대략 6주 가량됩니다.
- 목표: 봉합부 안정화, 부종 완화, 통증 조절
- 관리 포인트
- 보조기(암슬링) 착용: 주야 4-6주 유지, 샤워·간단 세안 시에만 제한적 탈착
- 냉·온격변요법: 수술 72시간 내 냉찜질 20분/2회, 이후 온찜질 교차 적용
- 수동 관절 가동 범위(PROM): 2주차부터 견관절 전방·외회전 90° 이내로 테라피스트 주도
- 손목·주관절·손가락 능동운동 유지: 부종과 관절 경직 예방
- 수술부위 압박 드레싱 및 고주파·레이저 치료로 혈류 촉진
2단계: 능동 보조·능동 가동 범위 회복 (6-12주)
- 목표: 일상 생활 범위(Forward Elevation 120° 이상) 확보
- 운동 프로토콜
- 펜듈럼·테이블 슬라이드·풀리 운동으로 체간 보상 최소화
- 지팡이·막대 사용한 Assisted ROM, 통증 4/10 이내 유지
- 견갑·흉추 안정화: Scapular setting, Thoracic extension foam roll
- 일상 활동: 가벼운 워킹·고정된 자전거 타기 허용, 무거운 세탁물·쇼핑백 들기 금지
3단계: 근지구력·근력 강화 (12-24주)
- 목표: 회전근·견갑 안정근의 등척·등속성 근력 정상화
- 강화 프로그램
- Theraband Y-T-W-L, 외회전/내회전 저항운동
- Closed chain 운동: Wall push-up plus, Quadruped shoulder taps
- 체간·둔부 코어: Dead bug, Glute bridge, Side plank
- 수영·가벼운 조깅: 16주차 이후 통증 없을 때 단계적 개시
- 호흡·자세 교정: 복식호흡, 전방 경사 어깨 자세 개선
4단계: 스포츠·업무 복귀 (6-12개월)
- 목표: 스포츠·직업 특이적 기능 90% 이상 회복
- 고급 단계
- 덤벨·케틀벨 기능적 훈련: Overhead carry, Turkish get-up
- 플라이오메트릭: Medicine ball chest pass, Wall dribble
- 직업·스포츠 모션 시뮬레이션: 골프 스윙, 테니스 서브, 물류 현장 리프팅
- 주관절·손목·흉추 가동 범위 최적화로 재부상 예방
통증·염증 제어 전략
약물·주사 요법
-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 2-4주 단기 복용
- 필요 시 초음파 유도 하 국소 스테로이드 주사(단, 3개월 이후 제한적 허용)
물리치료·보조기기
- TENS, 고주파 심부열, 충격파(6개월 이후 석회성 건염 동반 시 적용)
- 근막이완(MFR)·드라이니들링으로 근막 유착 해소
일상 생활 관리 팁
자세·수면
- 30° 상체 경사로 베개 2개 겹쳐 수면, 팔 아랫배개·팔걸이 활용
- 컴퓨터·스마트폰은 팔꿈치 90° 이하 위치, 목 전방 굽힘 15° 내로 제한
식이·영양
- 단백질 1.2-1.5g/kg, 비타민 C·A·D, 아연, 콜라겐 펩타이드 섭취 강화
- 알코올·니코틴은 건 치유 지연, 최소 3개월 금주·금연 권장
합병증 및 재파열 예방법
- 견관절 경직(Adhesive capsulitis): PROM 유지·온열치료
- 봉합부 재파열: 과도한 외회전·무게 추 운동 조기 시행 금물
- 신경 압박 통증: 견갑 자세·흉추 가동성 우선 교정
- 감염: 드레싱 교체 시 무균 원칙 준수, 발열·삼출 증가 시 즉시 진료
자주 묻는 질문
- 언제 운전할 수 있나요?
- 좌측 수술 시: 6주 뒤 소형 승용차부터 시범 운전, 우측 수술 시: 8-10주 후 권장
- 회사 복귀 시점은?
- 사무직: 4-6주차 부분 복귀, 현장직·중량 작업: 최소 3-4개월
- 운동선수는 경기장 복귀까지 얼마나 걸릴까요?
- 야구 투수·테니스 선수 등 오버헤드 스포츠: 9-12개월, 비오버헤드(축구 등) 6-8개월
- 재활을 건너뛰면 안 되나요?
- 재활은 건 결합력·관절 유연성·근력 균형을 회복시켜 재파열 위험을 최소화합니다. 생략 시 예후가 급격히 악화될 수 있습니다.
결론
회전근개 파열 수술 후 회복은 ‘시간·노력·전문적 가이드’가 삼위일체를 이뤄야 최상의 결과를 얻습니다. 초기 고정과 통증 관리, 중기 가동 범위 회복, 후기 근력 강화, 그리고 최종 단계에서 스포츠·업무 복귀까지 체계적이고 꾸준한 재활이 필수입니다. 무엇보다 통증이 ‘없다’고 해서 무리한 동작을 시도하는 순간 재파열의 위험이 커집니다. 주치의와 물리치료사의 프로토콜을 신뢰하고 묵묵히 따라가신다면, 6개월에서 1년 사이에 이전과 다름없는 어깨 기능을 되찾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