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업 경제 공무원

2025 공무원 초과근무수당 단가표, 교사 군인 경찰

by 백색서무 2025. 7. 14.
반응형

2025 공무원 초과근무수당 단가표 완벽 해설

2025년 1월 1일부로 개정·시행된 「공무원 보수 규정」에 따라 초과근무수당(시간외·야간·휴일근무수당) 단가가 전 직군·계급에서 일제히 인상되었습니다. 올해 최저임금(시급 10,030원)의 상승, 공무원 보수 인상률(기본급 평균 3.0 %) 반영, 직무·책임 가치 재평가 결과가 모두 녹아든 수치이기 때문에, 실무자·인사담당자 모두 정확한 단가를 숙지하고 시스템에 반영해야 합니다.

군인 경찰 교사 교원 교육 공무원 초과근무수당 단가표군인 경찰 교사 교원 교육 공무원 초과근무수당 단가표
군인 경찰 교사 교원 교육 공무원 초과근무수당 단가표

본 글에서는 직종별·계급별 2025공무원초과근무수당단가표를 원본 자료 그대로 정리하고, 산정 로직·월 한도·예산 집행 시 체크포인트까지 총망라해 드립니다.


초과근무수당의 개념과 산정 방식

초과근무수당이란?

  • 시간외근무수당: 06:00 ~ 22:00 중 정규근무(1일 8시간) 외에 근무한 시간당 수당
  • 야간근무수당: 22:00 ~ 翌일 06:00 수행 근무에 대해 시간당 가산 지급
  • 휴일근무수당: 토·일요일 및 법정공휴일 근무 시 일당(8시간 기준) 지급

산정 공식

  • 시간외·야간 단가는 동일 계급 월 보수액 × 가중치(통상 1/209) × 1.5로 계산
  • 휴일 단가는 시간외단가 × 8시간 (법정 기본식)

⚠️ 2025년부터 209시간(주 5일 × 52주 ÷ 12개월)의 월 환산시간은 변동이 없으며, 가중치만 1.5 배로 유지됩니다.

지급 한도

  • 일반직·특정직: 월 최대 67시간(행안부 지침)
  • 경찰·소방 등 외근직: 지휘관 승인 시 추가 인정 가능
  • 휴일근무수당: 연 20일 한도(공휴일 대체휴무제 적용 시 감액)

2025년 공무원 초과근무수당 단가표(직종·계급별)

표는 ‘시간외(시간당) / 야간(시간당) / 휴일(일당)’ 순입니다.
단위: 원

일반직·특정직·별정직(외무·군무원 포함) 공무원 초과근무수당 단가표

계급·직무등급 시간외 야간 휴일
5급·5등급 15,510 5,170 124,680
6급·4등급 13,229 4,410 106,343
7급·3등급 11,950 3,983 96,059
8급·2등급 10,729 3,576 86,241
9급·1등급 10,579 3,526 85,040

전문경력관 등 초과근무수당 단가표

군(職) 시간외 야간 휴일
가군 15,773 5,258 126,793
나군 12,523 4,174 100,666
다군 10,986 3,662 88,311

일반직 우정직군 초과근무수당 단가표

계급 시간외 야간 휴일
1급 18,140 6,047 145,816
2급 16,995 5,665 136,617
3급 15,848 5,283 127,393
4급 14,818 4,939 119,117
5급 14,011 4,670 112,628
6급 13,229 4,410 106,343
7급 11,950 3,983 96,059
8급 10,729 3,576 86,241
9급 10,579 3,526 85,040

공안직 공무원 초과근무수당 단가표(검찰·국가정보원)

계급 시간외 야간 휴일
5급 16,386 5,462 131,721
6급 13,911 4,637 111,822
7급 12,497 4,166 100,453
8급 11,145 3,715 89,589
9급 10,978 3,659 88,248

연구직 공무원 초과근무수당 단가표

직급 시간외 야간 휴일
연구관·국가정보원 전문관 15,545 5,182 124,959
연구사 12,751 4,250 102,500

지도직공무원 초과근무수당 단가표

직급 시간외 야간 휴일
지도관 15,282 5,094 122,843
지도사 21호봉 이상 12,474 4,126 100,276
지도사 20호봉 이하 11,680 3,877 93,777

경찰·소방 공무원 초과근무수당 단가표

계급 시간외 야간 휴일
경정·소방정 16,386 5,462 131,721
경감·소방령 14,941 4,980 119,266
경위·소방위 13,313 4,437 106,547
경사·소방장 12,497 4,166 100,453
순경·소방사 10,797 3,599 86,791

초·중등 교원, 교사 초과근무수당 단가표

구분 시간외 야간 휴일
교감·장학관·교육연구관 15,742 5,247 125,936
교사·장학사·교육연구사 14,742 4,914 117,936
20 ~ 29호봉 13,733 4,578 109,864
19호봉 이하 12,363 4,116 98,904

임기제(공공기관 파견·공익법무관 등 제외) 공무원 초과근무수당 단가표

직무등급 시간외 야간 휴일
일반임기제 가급 15,510 5,170 124,680
일반임기제 나급 13,229 4,410 106,343
일반임기제 다급 11,950 3,983 96,059
일반임기제 라급 10,729 3,576 86,241
일반임기제 마급 10,579 3,526 85,040
전문임기제 나급 15,510 5,170 124,680
전문임기제 다급 13,229 4,410 106,343
전문임기제 라급 11,950 3,983 96,059
전문임기제 마급 10,579 3,526 85,040

전문관 초과근무수당 단가표

변호사·회계사·의사·약사 등 전문관의 단가는 해당 공무원이 속하는 ‘법령정책직렬 가군호’ 월 보수 × 1/209 × 1.5로 산정되며, 가군 기준 시간외 15,545원·야간 5,182원·휴일 124,959원으로 공시됐습니다.

군인 초과근무수당 단가표

계급 시간외 야간 휴일
대위 14,354 4,785 114,832
중위 10,919 3,637 87,352
소위 10,610 3,536 85,448
준위 14,322 4,775 114,576
상사 11,501 3,834 92,008
중사 10,975 3,659 87,792
하사 10,516 3,506 84,128

2024년 대비 변화 포인트

  1. 평균 3 % 인상
    • 최저임금 상승률(2.5 %)를 상회하도록 설계해 실질임금 보전.
  2. 경찰·소방·군인 계열 상향 폭 확대
    • 야간·휴일 근무 비중이 높은 현장직 특성 고려.
  3. 전문경력관·전문관 수당 재정비
    • 직무 가치 평가 결과 반영으로 연구·법무 분야 가군 배치 확대.
  4. 교원 호봉 구간 세분화
    • 30호봉 이상 구간 신설, 중위권(20 ~ 29호봉) 수당 격차 축소.

인사·재무 담당자를 위한 체크리스트

1. 시간외근무관리시스템(ERP) 설정

  • 2025.1.1 기준 단가 업데이트 여부 확인
  • 야간·휴일 구분 로직 오류 점검
  • 월 한도(67h) 초과 시 자동차감 기능 활성화

2. 예산 집행 계획 수립

  • 조직별 초과근무 목표 시간 산정 후 월별 배분
  • 야근 집중 부서(24 h 관제·민원실) 추가 예산 확보
  • 휴일근무수당 예산은 법정공휴일 변동일수 반영해 편성

3. 감사·근태 증빙

  • 모든 초과근무는 사전/사후 승인 전자결재 필수
  • 근무 실적(로그·CCTV·업무시스템 기록) 보관 3년 의무
  • 허위·부당 수당 적발 시 지급액 5배 환수, 징계(최대 해임)

실무 Q&A

질문 답변
월 67시간을 초과하면 전액 미지급인가요? 초과분은 무급 처리되나, 행안부 장관 승인을 받은 긴급·특수직무는 예외 인정됩니다.
야간근무와 휴일근무가 겹칠 때는? 휴일근무수당(일당)을 지급하고, 해당 휴일 내 22:00~06:00 근로시간이 4시간을 초과하면 추가로 야간근무수당을 중복 지급합니다.
교원 연구년 중 초과근무 가능? 연구년 대상자는 교육활동 면제가 원칙이므로 초과근무수당을 청구할 수 없습니다.
군인의 파견·교육 기간 단가는? 파견·교육 중이라도 원 소속 계급별 단가를 적용하되, 교육기관 자체 야간훈련은 시간외만 인정합니다.

결론

2025년 초과근무수당 단가 인상은 실질임금 보전직무 난이도 형평성 양측을 모두 고려한 조정입니다. 앞으로도 정부는 **근무 형태 다변화(재택·유연근무)**에 맞춰 수당 체계를 계속 손질할 예정이므로, 각 기관은 상시 규정 모니터링내부 시스템 업데이트로 행정 공백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실무 담당자라면 본 단가표를 즉시 반영해 예산 낭비 없이, 근로자가 정당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관리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