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삼우제란? 삼우제 상차림

by 백색서무 2025. 10. 9.
반응형

삼우제란? 삼오제 아님, 삼우제 상차림 완벽 정리

오늘은 흔히 혼동되는 표현인 ‘삼오제란?’ 과 올바른 표현인 ‘삼우제(三虞祭)’ 의 차이, 그리고 삼우제의 정확한 의미와 절차, 상차림 구성에 대해 깊이 있게 알아보겠습니다. 삼우제는 조상 제례 문화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 의식으로, 장례를 마친 직후 고인의 혼을 위로하고 마지막 작별을 고하는 절차입니다. 단순히 예를 갖추는 자리가 아니라, 고인에 대한 마지막 예와 유족의 정성, 그리고 인간의 생과 죽음을 되새기는 의미 있는 의례입니다.


‘삼오제’란? 틀린 표현입니다

먼저 많은 분들이 착각하는 표현부터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흔히 “삼오제(三五祭)”라고 부르지만, 이는 틀린 표현입니다.

삼오제란?

올바른 말은 “삼우제(三虞祭)” 입니다.

  • ‘삼(三)’ 은 숫자 3을 의미하고,
  • ‘우(虞)’ 는 위로한다, 근심한다는 뜻으로, 고인의 영혼을 위로하는 제사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 따라서 ‘삼우제’는 고인이 세상을 떠난 지 3일째 되는 날 지내는 위령제를 뜻합니다.

‘삼오제’는 아마도 발음상 혼동에서 비롯된 잘못된 표현으로, 인터넷 검색에서도 자주 등장하지만 제례 용어로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삼우제의 유래와 의미

삼우제는 유교 전통 장례 절차의 마지막 단계로, 고인이 돌아가신 후 3일째 되는 날에 치러지는 제사입니다.

전통적으로는 초우제(初虞祭) → 재우제(再虞祭) → 삼우제(三虞祭) 의 순서로 진행되며, 이 세 제사는 모두 장례 후 고인의 혼을 달래고, 망자를 천도(遷度)하기 위한 과정입니다.

  • 초우제(初虞祭) : 장례를 마치고 다음 날 처음 지내는 제사
  • 재우제(再虞祭) : 초우 후 이틀째 되는 날 지내는 제사
  • 삼우제(三虞祭) : 장례 후 사흘째 되는 날 지내는 제사

그러나 현대에 들어서는 초우제와 재우제를 생략하고 삼우제만 지내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이는 장례 절차의 간소화 추세와 가족 구성의 변화 때문이기도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삼우제는 여전히 “마지막 작별”이라는 상징성을 지닌 중요한 예식으로 남아 있습니다.


삼우제 날짜 계산법

삼우제는 장례를 마친 날을 기준으로 3일째 되는 날에 지냅니다. 즉, 발인일(出殯日)을 첫째 날로 계산하여 그로부터 사흘째 되는 날이 삼우제일입니다.

예를 들어,

  • 발인일이 10월 1일이라면 → 10월 3일이 삼우제입니다.
  • 장례 후 묘지에서 모신 경우에는 보통 묘소 근처에서 삼우제를 지내며,
    고인의 넋을 안정시키는 의미로 성묘 및 헌작(獻酌) 을 함께 진행합니다.

삼우제 절차

삼우제의 절차는 일반 제사와 유사하지만, 고인의 장례 직후이기에 좀 더 엄숙하고 간소하게 진행됩니다.

일본의 장례식 사진을 주로 사용했습니다만, 일본에는 삼오제라는 개념이 없습니다. 일본은 유교국가가 아니라 불교 국가기 때문에 대부분의 장례를 비롯한 경조사가 불교에서 유래된 방식을 따릅니다.

1. 제사상 준비

삼우제 상차림은 고인이 생전에 좋아하던 음식기본 제례 음식으로 구성합니다. 주된 원칙은 정성과 절제입니다. 음식은 화려하거나 자극적이지 않게 하며, 신선한 재료로 준비해야 합니다.

삼우제 상차림 기본 구성 예시

  • 밥, 국, 술(청주)
  • 고기요리 (소고기 구이, 산적 등)
  • 생선 (조기, 도미 등 머리와 꼬리 포함)
  • 나물류 3~5가지 (시금치, 고사리, 도라지, 숙주, 무나물 등)
  • 전 (동태전, 녹두전 등)
  • 과일 3~5종 (배, 사과, 감, 대추, 밤 등)
  • 포, 숙(干魚, 육포, 포류)
  • 떡 (백설기나 시루떡)
  • 향, 초, 지방(紙榜)

주의할 점

  • 짜거나 매운 양념, 냄새가 강한 음식은 피합니다.
  • 털이 있는 과일(복숭아, 키위 등)은 제사상에 올리지 않습니다.
  • 이름이 ‘~치’로 끝나는 생선(명치, 갈치 등)은 제사상에 올리지 않는 전통이 있습니다.

2. 제사 진행

삼우제는 유족 모두가 참석하여 고인의 영정을 중심으로 진행합니다.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분향 및 헌주(獻酎) : 향을 피우고 첫 잔을 올립니다.
  2. 초헌(初獻) : 상주가 첫 번째 술잔을 올립니다.
  3. 아헌(亞獻) : 차남 또는 가까운 친족이 두 번째 잔을 올립니다.
  4. 종헌(終獻) : 삼헌(三獻)이라 하며, 마지막으로 잔을 올립니다.
  5. 독축(讀祝) : 지방(紙榜)을 낭독하고 고인의 영혼을 위로합니다.
  6. 헌작(獻爵) : 모든 유족이 차례로 잔을 올립니다.
  7. 절 및 폐백(拜禮) : 고인에게 마지막 인사를 드리고 절을 올립니다.

헌작을 마친 뒤에는 조용히 묵념하거나, 고인에 대한 회상을 나누는 시간을 갖습니다. 이 순간이야말로 삼우제의 핵심 — ‘고인을 마음으로 떠나보내는 마지막 예’ 입니다.


3. 제사 후 절차

삼우제를 마친 뒤에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진행합니다.

  • 묘비 세움(입비식) : 묘비를 세우는 경우가 많습니다.
  • 묘지 정비 : 주변을 정리하고 향을 피워 고인의 영혼을 위로합니다.
  • 제사 음식 나눔 : 제사 후 음식을 가족이 함께 나누며, 고인의 복을 이어받는 의미를 가집니다.

이 과정을 통해 가족은 슬픔 속에서도 마음의 정리를 하고, 고인을 평온히 보내드리는 시간을 갖게 됩니다.


삼우제 지방(紙榜) 쓰는 법

지방은 고인의 이름과 관계를 적은 종이로, 삼우제 때도 일반 제사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성합니다. 한문으로 쓰는 것이 전통이지만, 현대에는 한글 지방도 많이 사용됩니다.

예시)

  • 부친상인 경우 : “顯考學生府君神位(현고학생부군신위)”
  • 모친상인 경우 : “顯妣孺人某氏神位(현비유인모씨신위)”
  • 조부모의 경우 관계에 따라 조정합니다.

제사를 마친 뒤에는 지방을 불태워 하늘로 올리는 것으로 마무리합니다.


삼우제의 현대적 의미

요즘은 바쁜 사회 구조 속에서 삼우제를 생략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러나 삼우제는 단순한 의식이 아니라, 남겨진 가족이 고인을 진심으로 위로하는 시간입니다.

  • 장례 후 정신적으로 힘든 시기에 슬픔을 정리하고 마음을 추스르는 과정
  • 가족이 다시 일상으로 돌아가기 위한 심리적 전환의 의례
  • 고인을 떠나보내며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마지막 인사

따라서 전통의 틀을 모두 지키지 않더라도, 정성의 마음을 담아 조촐하게라도 삼우제를 지내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삼우제 지낼 때 유의사항 요약

  1. 단정한 복장과 마음가짐 : 삼우제는 고인을 위로하는 자리입니다.
  2. 정성스럽게 음식 준비 : 양보다 질, 간소하지만 깔끔하게.
  3. 시간 준수 : 발인 후 3일째 되는 날에 맞춰 지냅니다.
  4. 묘소 환경 정비 : 제사 전후로 묘소 주변을 깨끗이 정리합니다.
  5. 가족 간 화합의 시간 : 고인을 매개로 가족이 마음을 나누는 계기로 삼습니다.

결론

‘삼오제’가 아닌 ‘삼우제(三虞祭)’ 가 올바른 표현입니다. 삼우제는 단순한 의식이 아니라 고인의 마지막 길을 정성껏 배웅하는 예(禮) 이자, 남은 가족이 슬픔을 정리하고 삶을 이어가기 위한 의미 있는 의례입니다.

삼우제는 형식보다 마음이 중요합니다.

조용히, 그러나 진심을 담아 고인을 위로하는 자리가 될 때 그 의미는 더욱 깊어집니다. 오늘 하루 잠시 시간을 내어, 조상과 고인을 생각하며 삼우제의 본뜻을 되새겨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