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 봉급표 2025 2026 초등학교 교사 월급
2025년 교사 봉급표는 공무원보수규정 별표 11 개편과 함께 교사들의 경력·직무 특성을 정교하게 반영하는 방향으로 전면적인 변화가 이루어졌습니다. 동시에 교직수당·담임수당 등 고정수당 체계가 대폭 인상되면서 실질 월급 수준이 과거보다 뚜렷하게 상승한 것이 특징입니다. 특히 초등학교 교사들은 담임비중이 높아 고정수당 인상의 영향이 크게 반영되는 직군이기 때문에 2025년 실수령액 증가 폭이 비교적 크게 나타납니다.


한편 2026년 교사 봉급표는 아직 정부가 최종 발표하지 않았지만 최근 5년간 물가·보수 추이, 공무원 임금교섭 요구안(6.6% 인상 요구) 등을 고려하면 2026년 역시 일정 수준의 봉급 상승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에 따라 본 글에서는 2025 교사 봉급표의 구조를 토대로 초등학교 교사의 실제 월급이 어떻게 산정되는지, 2026년 예상 인상률이 반영되면 월급이 어느 정도 변화하는지 종합적으로 정리합니다. 특히 초등교사는 담임배정 확률이 매우 높고 출결·생활지도 등 학생 관리 업무 비중이 높아 구조적으로 수당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봉급표와 고정수당 변화를 함께 살펴야 정확한 월 실수령액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본문에서는 봉급표 수치, 호봉체계, 교직수당·담임수당·가산연수 제도, 기간제교원 보수체계 등 주요 내용을 함께 정리해 실제 초등교사 월급 계산 구조를 세부적으로 설명합니다.
교사 봉급표 2025 개편 개요
2025년부터 새롭게 적용된 공무원보수규정 별표 11은 교원 봉급체계를 전면 개편하여 경력별 보수 차이를 조정하는 동시에 직무 특수성을 반영하는 구조로 단장되었습니다. 특히 교직수당과 담임수당이 큰 폭으로 오르며, 직무 강도와 실제 업무량을 반영한 현실화가 이뤄졌습니다. 초등학교 교사에게 가장 직접적인 변화는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요약됩니다.
2025 교사 봉급 인상 포인트
- 평균 3% 기본봉급 인상
- 중·고호봉 구간 소폭 상향 조정
- 기간제교원 산정호봉 고정급 처리
- 고정수당 현실화(교직·담임수당 대폭 인상)
2025 고정수당 인상 내역
- 교직수당: 200,000 → 250,000원
- 담임수당: 130,000 → 200,000원
- 보건교사수당: 30,000 → 40,000원
- 영양교사수당: 30,000 → 40,000원
- 사서교사수당: 20,000 → 30,000원
초등 담임교사는 대부분 담임을 맡기 때문에 교직수당 + 담임수당이 매달 고정으로 붙습니다. 즉 2025년 기준 초등담임교사의 기본 고정수당만 450,000원입니다.
2025 교사 봉급표(월 지급액)
아래는 1호봉부터 40호봉까지의 공식 월봉급표입니다. 단위는 원입니다.

- 1호봉 1,982,100
- 2호봉 2,042,200
- 3호봉 2,103,000
- 4호봉 2,163,700
- 5호봉 2,224,800
- 6호봉 2,285,900
- 7호봉 2,346,300
- 8호봉 2,406,500
- 9호봉 2,448,300
- 10호봉 2,471,400
- 11호봉 2,492,600
- 12호봉 2,541,600
- 13호봉 2,657,500
- 14호봉 2,773,700
- 15호봉 2,889,700
- 16호봉 3,006,200
- 17호봉 3,121,000
- 18호봉 3,241,500
- 19호봉 3,361,200
- 20호봉 3,481,000
- 21호봉 3,600,700
- 22호봉 3,733,600
- 23호봉 3,865,300
- 24호봉 3,997,500
- 25호봉 4,129,400
- 26호봉 4,261,900
- 27호봉 4,400,100
- 28호봉 4,538,000
- 29호봉 4,682,100
- 30호봉 4,826,800
- 31호봉 4,971,100
- 32호봉 5,115,200
- 33호봉 5,261,600
- 34호봉 5,407,500
- 35호봉 5,553,600
- 36호봉 5,699,100
- 37호봉 5,825,700
- 38호봉 5,952,500
- 39호봉 6,079,500
- 40호봉 6,205,700
초등 신규 임용 교사는 보통 9호봉에서 시작하고, 사범대·교대·가산연수 등이 반영되면 10∼12호봉에서 시작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초등학교 교사 실제 월급 구성 요소
교사의 월급은 단순히 "호봉 × 기본봉급"으로 끝나지 않으며, 다음 항목을 모두 합산해야 실수령 월급이 계산됩니다.
기본월급
- 본인이 속한 호봉의 월봉급액
고정수당
- 교직수당 250,000
- 담임수당 200,000(담임일 경우)
- 보건·영양·사서교사수당 등은 직무별 추가
정근수당
- 1년 이상 근속 시 기본급 10%
- 5년 이상 근속 시 30%
가족수당
- 첫째 50,000
- 둘째 80,000
- 셋째 이상 120,000
명절휴가비
- 기본급의 60% (1년에 2회 지급)
시간외근무수당
실제 수업 외 행정·행사지원 등이 많지만 법적으로 근무 인정 시간 범위에서 지급됩니다.
초등학교 교사 월급 예시 계산(2025 기준)
단순화된 계산 예시입니다.
신규 초등교사(9호봉, 담임일 경우)
- 기본급 2,448,300
- 교직수당 250,000
- 담임수당 200,000
- 정근수당(입직 1년 미만은 없음)
총액: 약 2,898,300원
4대보험·세금 공제 후 실수령: 약 230만~245만 원 수준
10년차 초등교사(18호봉, 담임)
- 기본급 3,241,500
- 교직수당 250,000
- 담임수당 200,000
- 정근수당 약 20% = 648,300
총액: 약 4,339,800원
실수령 약 330만~350만 원
20년차 초등교사(28호봉, 담임)
- 기본급 4,538,000
- 교직수당 250,000
- 담임수당 200,000
- 정근수당 30% = 1,361,400
총액: 6,349,400원
실수령 약 450만~480만 원
초등학교 교사의 연차 상승과 함께 정근수당 비중이 커지기 때문에 15년차 이후 실수령액 증가 속도가 빨라집니다.
2026 초등교사 월급 예상 분석
2026 공무원 임금 인상률은 2025년 8월 전후에 확정될 예정이지만, 최근 10년 평균 인상률과 교원노조의 요구안 등을 고려하면 아래 세 가지 시나리오를 가정할 수 있습니다.
예상 인상률 시나리오
- 최소 시나리오: 2.5%
- 중간 시나리오: 3.0%
- 상향 시나리오: 3.5%
2026년 9호봉 초등교사 예상 기본급(예상치)
- 2.5% 인상: 약 2,509,000
- 3.0% 인상: 약 2,521,000
- 3.5% 인상: 약 2,534,000
2026년 초등교사 실수령액 변화
- 고정수당 변동 가능성 있음(정부·노조 협의 예정)
- 담임수당 추가 인상 요구 지속
- 교직수당 현실화 추가 논의 가능성
즉 2026년에는 초등교사 월 실수령이 평균 7만~12만원 추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기간제 초등교사 보수 체계
기간제교원은 별도 규정에 따라 산정호봉이 고정급으로 적용됩니다. 즉 임용 기간 동안 호봉 승급이 이뤄지지 않고, 기존 호봉 기준액을 그대로 지급합니다. 기간제도 교직수당은 동일하게 지급되지만 담임 업무 여부에 따라 담임수당 지급 여부가 달라집니다. 또한 시간제 기간제교사의 경우 정상근무 기준 월봉급액을 근무 시간 비율로 나누어 지급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실제 월급 편차가 큽니다.
2025~2026 교사 호봉 결정 기준
초임호봉 산정은 다음 원칙을 기반으로 이루어집니다.

경력환산율 적용
- 군복무, 사기업 근무 등 비교직 경력 반영
- 평균 70% 전후 환산
학령 + 가산연수
- 초 6·중 3·고 3·대 4년
- 사범계·교대 졸업 시 1년 가산
- 비사범계 졸업 1년 가산
특수직무 가산
- 영양교사 1급: 기본 9호봉
- 사서교사 2급: 8호봉






- 담임 배정 여부
- 정근수당 증가
- 자녀 수당
- 시간외근무 인정 시간
- 석사·박사 학위 및 경력 가산
결론


2025년 교사 봉급표 개편과 고정수당 대폭 인상으로 초등학교 교사 월급은 과거보다 뚜렷하게 상승했습니다. 특히 담임교사의 경우 교직수당 + 담임수당 인상폭이 크기 때문에 실질적인 체감 상승폭이 상당한 수준입니다. 2026년 봉급 인상률은 공식 발표 전이지만 최근 흐름을 고려하면 2.5~3.5% 수준의 인상이 유력하며, 이에 따라 초등교사 실수령액도 자연스럽게 상승할 전망입니다. 교사 호봉체계는 학령·가산연수·경력환산·특수직무 가산 등 요소가 복합적으로 반영되기 때문에 개인별 시작호봉과 경력별 월급 차이가 크게 나타납니다. 신규 임용을 준비하는 예비교사, 현직 초등교사, 기간제교원 모두 2025년 개편된 봉급표와 2026년 예상 인상률을 기반으로 자기 호봉과 월급 체계를 정확히 파악하면 향후 경력계획과 재정계획 수립에 큰 도움이 됩니다.